반응형 전체 글104 호주(Australia)의 역사, 한 방 정리!_(2) https://hyuck99tvnews.tistory.com/entry/%ED%98%B8%EC%A3%BCAustralia%EC%9D%98-%EC%97%AD%EC%82%AC-%ED%95%9C-%EB%B0%A9-%EC%A0%95%EB%A6%AC1 호주(Australia)의 역사, 한 방 정리!_(1)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 호주는 라틴어로 'Terra Australis'라는 개념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남쪽의 땅'이라는 뜻으로, 고대 유럽인들이 상상한 가상의 남쪽 대륙이었습니다. 고대 서양인들은 자신들이 살고.. hyuck99tvnews.tistory.com - 1부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 19세기 중반까지도 호주 내륙의 많은 부분은 수수께끼로 남아 있었지만, 영국인들은 점점 호주 대륙을 탐.. 2020. 4. 13. 호주(Australia)의 역사, 한 방 정리!_(1)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 호주는 라틴어로 'Terra Australis'라는 개념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남쪽의 땅'이라는 뜻으로, 고대 유럽인들이 상상한 가상의 남쪽 대륙이었습니다. 고대 서양인들은 자신들이 살고 있는 북쪽 말고 남쪽에도 큰 대륙이 있을 것이라고 상상했었으며, 실제로 남쪽에 가본 적은 없지만 상상의 대륙에 이름을 붙여줬던 것이죠. 시간이 흘러, 대항해 시대 이후 유럽인들이 호주 대륙을 발견하자 오래전부터 상상한 이름을 이 새로운 대륙에 붙여주었던 것입니다. 상상의 대륙, 호주 어떠한 역사를 가지고 지금의 호주가 되었는지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오늘날 호주라고 부르는 대륙의 역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오래되었습니다. 현재 호주 인구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백인.. 2020. 4. 12. 검증되지 않은 일본 치료제 '아비간'! 전 세계에 뿌리고 있다!! 인체에 투입하는 약물은 반드시! 어떠한 경우라도! 여러 단계의 철저한 검증을 거쳐야 합니다. 이 때문에 인간을 위한 신약개발은 그만큼 어렵고 위험한 일입니다. 경제력 또는 정치적으로 밀어붙인다고 되는 일이 절대 아니란 것입니다. 코로나 19... 지금 전 세계의 제약회사와 정부는 세계적인 악재를 잠재울 수 있는 치료와 백신을 찾는 일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런 와중에 일본의 아베가 검증되지 않은 일본의 약물, 후지필름의 '아비간'을 전 세계에 임상 실험용으로 뿌리고 있습니다. 물론 아직 철저한 검증을 하지 않은 상태고요. 게다가 아베는 WHO의 ‘아드하 놈’과 미국의 ‘트럼프’에게 전화로 협력 요청을 하는 바람에, 지금 미국에서 큰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미국의 정치 전문 사이.. 2020. 4. 8. 디즈니 성 모티브, 노이슈반 슈타인 성! 성에 얽힌 이야기 정리. 노이슈반슈타인 성. 직역하자면 “새로운 백조 돌 성”이라는 뜻을 가진 이 성은 이름이 좀 낯설수 있지만, 사실 우리에게 매우 친숙하고 익숙한 성입니다. 디즈니의 잠자는 숲 속의 공주의 배경이 된 성이기도 하고 디즈니사의 영화 오프닝에 등장하는 성의 모티브를 제공한 성이기 때문입니다. 독일 바이에른 주, 퓌센에 위치한 노이슈반슈타인 성이 있는 자리에는, 중세 때 이미 Vorderhohenschwangau와 Hinterhohenschwangau라는, 우리에게는 매우 복잡한 이름을 가진 두 채의 성이 있었습니다. 오늘날 남아있는 문서 상으로 1090년 최초로 언급되는 이 두 채의 성은 군사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던 요새였는데요. 중세 시대가 저물고 시간이 지나면서 두 채의 성은 쓸모를 잃은 채, 제대로 관리되지.. 2020. 4. 4. '베르사유 궁전'의 얽히고 설킨 역사!_(2) https://hyuck99tvnews.tistory.com/manage/newpost/80?type=post&returnURL=https%3A%2F%2Fhyuck99tvnews.tistory.com%2Fmanage%2Fposts%2F TISTORY 나를 표현하는 블로그를 만들어보세요. www.tistory.com - 1부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 프랑스혁명이 시작된 이후 베르사유는 점차 권력의 중심지에서 멀어지게 됩니다. 혁명이 시작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파리 시민들의 강력한 요구로 루이 16세와 왕비인 마리 앙투아네트는 파리에서 지내게 되죠. 1793년, 루이 16세와 왕비인 마리 앙투아네트가 처형되었고, 이후 나폴레옹은 본인이 베르사유 궁전에서 지낼 계획을 검토하지만 주변의 강력한 반대로 실행.. 2020. 4. 3. '베르사유 궁전'의 얽히고 설킨 역사!_(1) 베르사유 궁전은 파리에 여행하는 관광객들이 반드시 방문하는 장소 중 하나입니다. 여행객들은 이곳에서 절대왕정 시기, 프랑스 왕가의 화려한 모습을 몸소 체험할 수 있는 곳이죠. 그런데 베르사유 궁전이 단순히 왕들의 사치스러운 생활을 위한 장소였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베르사유 궁전은 언제, 무슨 이유로 지어졌는지, 더 넓게는 프랑스와 유럽의 근현대사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태양왕 루이 14세의 어린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서 살펴보자면, 루이 14세는 아버지였던 루이 13세가 사망하면서 다섯 살의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오르게 됩니다. 너무나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랐기에, 집권 초창기 루이 14세의 왕권은 굉장히 불안했습니다. 이로 인해 파리에서는 루이 14세가 아직 10대였던 1648년부터 1653년까지,.. 2020. 4. 2. 엄청난 석유와 천연가스, 7광구! 일본이 가져가게 된다? 지금 한국에는 ‘7광구’에 대한 많은 국민들의 관심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7광구에는 미국 우드로 윌슨 연구소의 분석에 의하면 천연가스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약 10배 수준이며 원유 매장량은 1,000억 배럴로 미국 전체 매장량의 4.5배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이렇게 엄청난 양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7광구가 8년이 지나면 일본의 손아귀에 그대로 쏙 들어가 버립니다. 분명한 사실은 7광구는 대한민국의 대륙과 이어진 우리 땅입니다. 대륙붕은 해변에서 깊이 약 200해리(370.4km)까지의 완만한 경사의 해저지형입니다. 일본은 이 7광구의 땅까지 오키나와 해협을 사이에 두고 땅이 뚝 끊어져 버렸습니다. 거리만 좀 가깝다 뿐이지 완전히 대한민국의 땅인 것이죠. 그런데 왜 이 땅이 한 일 공동.. 2020. 3. 31. '루브르 박물관'의 모든 것. 루브르 박물관. 루브르는 박물관이 아니라 궁전이 시초였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궁전이 어쩌다가 박물관이 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2세기 후반, 프랑스의 국왕 '필립 2세'는 파리를 노르망디에 주둔하고 있던 영국군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요새를 짓습니다. 이 요새가 루브르의 시초인데, 지금도 루브르에 들르게 된다면 당시 요새로 쓰인 건물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중세를 거치면서 파리시가 점점 확장되자 요새로서 루브르의 기능은 퇴화될 수밖에 없었는데요. 이에 1546년, 당시 프랑스의 왕이었던 '프랑수아 1세'는 루브르의 기능을 요새에서 궁전으로 바꾸게 됩니다. 한편 '프랑수아 1세'는 개인적으로 예술과 학문의 열렬한 후원자였는데요. 그는 당대의 뛰어난 예술 작품들을 열심히 수집하여 루브르 궁.. 2020. 3. 30. 이전 1 2 3 4 5 6 7 ··· 13 다음 반응형